2016년 5월 30일 월요일

믿음은 공짜로 얻어지지 않는다.

“공직자는 무릇 청렴해야 한다”위 명제에는 누구도 이견을 달지 않을 것이다. 이견이 있다 한들 함부로 공개적으로 부정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이는 이 명제가 상식이거니와, 하나의 도덕률이기에 그렇다. 하지만 문장 자체가 상식이라고 해서 그 의미까지 모두가 훤히 알고 있는 것은 아니다. 어디까지가 공직자이며, 왜 청렴해야 하는걸까?

 사전을 찾아보면 공직자는 공직에 종사하는 사람이며, 공직이란 관청이나 공공 단체의 직무를 말한다. 또한 관청은 국가 사무를 취급하는 국가 기관을, 공공 단체는 국가로부터 그 존립의 목적이 주어진 법인을 지칭한다. 쉽게 말해 나랏일 하는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국가론에 대해서까지 얘기하기엔 내 지식수준이 너무 가련하기에 상세히 얘기할 순 없지만, 기본적으로 국가기관은 국민들의 일을 대신 하는 곳이다. 국민은 그 댓가로 세금을 모아 내어 국가의 일을 할 자금을 모으고, 공직자의 인건비를 충당하는 것이다. 대가를 받고 일을 대신 해 주는 만큼, 일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 사용자인 국민들에게 알려주어야만 한다. 여기까지가 의무이다. 그들이 청렴하지 못하게 일을 하고 있다면, 그리고 그걸 우리가 알게 된다면 우린 더이상 그들을 이용하지 않을 것이다. 다시 말해, 이런 측면에서 공직자가 청렴해야 하는 건 국민을 위해서가 아니라 그들 자신을 위해서다. 이상적이고 순진한 얘기다. 아마도 청렴하지 못할 바에야 더이상 그 일을 하지 않아도, 그 대가를 받지 않아도 될 만큼 지저분할 것이며, 일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려줄 의무를 강제할 자들 또한 그들 자신이기에 일이 제대로 돌아가긴 어려울 것이다. 일을 제대로 하라고 준 권리, 혹은 대가를 이용해서 의무를 가려버리는 것이다. 이렇게 된 이상 정말 주권이 국민에게 있다고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하지만 하려던 이야기는 이게 아니다. 범위를 국가에서 하나의 동아리로, 극적으로 좁혀보자. 범위가 좁아지면 내 피부에는 더 가까워지는 법이다. 동아리의 임원은 법적인 정의에 따라 공직자는 아니다. 하지만 철학적 의미에서 국가의 공직자와 동아리의 임원은 궤를 같이 한다. 그들은 일의 대가를 받아야 하고, 늘 의심받는것이 자연스럽다. 믿음은 그냥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자신이 아무 노력도 하지 않는데 믿음을 받는것은 요행일 따름이다. 남이 나를 의심할 이유는 많은데, 반대로 믿어주어야 할 이유는 하나도 없다. 의심받지 않으려면 사전에 모두 보여주면 되고, 의혹이 생긴다면 해명하면 될 일이다. 나를 의심한다고 해서 화낼 이유가 없다. 인간적으로 섭섭할 수는 있겠으나, 의심받고 또한 해명하는게 그 자리에 어울리는 일이다. 그 일 하라고 앉혀놓은 것이다. 또한, 그렇기 때문에 어떤 형태로든 응당 대가를 받아야만 한다. 실상은 그냥 총회날 안 온 놈에게, 만만한 놈에게, 친한 놈에게 임원을 시켜 봉사하게 만들고 있으니 결국 이것도 한낱 이상적인 얘기지만.

 나는 밴드를 하나 이끌고 있고, 몇몇 음악인들로 이루어진 소모임의 리더를 맡고 있다. 전자야 뭐 그렇다 치고 후자는 리더라는 표현이 좀 민망하지만, 모임 내에서 주로 일을 벌리고 맡아 한다는 의미 정도로 해석하면 되겠다. 내가 일을 맡아 하는 대신 얻는 댓가는 그 단체에서 벌리는 일을 내 뜻과 비슷한 방향으로 이끌어갈 수 있다는 점이다. 그로 인해 차후 내 자신의 이익을 얻을 수 있으리라는 기대가 있으니, 그리고 그게 누가 나에게 강요한 것이 아닌 스스로 하는 기대이기에 가능한 일이다. 밴드에서도 모임에서도 내가 하나씩 크게 말아먹은, 혹은 지연되는 일이 있는데, 그럼에도 너무나 감사하게도 공개적으로 비난을 받는 정도는 아니다. 첫째로는 그들의 후한 인품 덕분이고, 둘째로는 내 노력을 잘 어필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한창 일을 크게 벌리던 때에는 매월 회비 사용내역을 원단위로 상세히 공개하고, 회비는 모두의 동의를 거쳐 결정하여 걷었다. 어떤 일을 벌릴 때에도 전원의 동의 없이 하지 않으려 애쓴다. 동의하지 않는 사람이 있을 땐 설득하거나 일 자체를 접어버린다. 그런게 쌓여 지금은 내가 조금 태만해도 감사히 계속해서 믿어들 주시는 중인 것 같다. 감히 내 스스로 말하기 민망하지만, 대체로 믿음은 이런 식으로 얻어내는 것이다. 대단한 것이 아니라, 당연히 으레 그렇게 해야 하는 것이다,

 오늘 봤던 어떤 글을 보고 생각이 들어 써보았다. 대나무 숲에 올라온, 회비 걷어 남은 돈은 어디 숨기냐는 글이었다. 그 글도 약간 치사한 면은 있었지만, 댓글은 대체로 비난 일색이었다. 제일 한심한 건 ‘네가 하면 되겠네’류의 댓글들이었다. 대학생씩이나 되는 분들이 어디 그런 유치한 말씀을. 대체로는 ’안 해봐서 일이 어떻게 돌아가는건지 모른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었다. 어디 그런 당연한 말씀을. 안 해보면 당연히 모른다. 아는 사람들이, 그 일을 하는 자들이 알려주는게 의무다. 초반에 말했듯, 그들 자신을 위해서다. 의심받기 싫다면 그런 일은 누가 물어보기 전에 대답해주면 된다. 그게 귀찮으면 의심받고 나서라도 해명해주면 된다. 다만, 반복되는 의심은 신뢰를 무너트리고 무너진 신뢰는 다시 회복되기 쉽지 않으므로 애초에 의심받지 않으려는 노력을 하는게 본인 신상과 정신건강에 좋다. ‘얼마나 힘든지 몰라서 이런다’는 의견도 많았다. 해야될 일을 안해놓고 힘들어서 그랬다는 투정은 아무도 안 받아준다. 믿음은 공짜로 얻어지지 않는다.


 덧붙여, 의심하는 자들은 상대에 대한 예의상, 찾아볼 수 있는 정보는 좀 찾아보고 의심하는게 좋다. 터무니없는 의심을 받으면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 힘 빠진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